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파투생>의 경제 용어 알아가기 Part.1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이란?

본문

파이어! 투자 생초보 파투생입니다!

 

오늘은 저의 경제 관련 용어 알가가기 첫번째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경제용어를 잘 아니까 설명해주겠다! 는게 아니라 

나도 이제 경제공부를 시작하면서 내가 하는 공부를 복습 겸 기록 겸 같이 공부해보자!는 취지로 작성합니다!

그러니까 어쩌면 틀린점도 있을 수 있고 쓸데없는 말도 있을 수 있지만 

우리 모두 배워가는 과정이니 서로 틀린게 있으면 바로잡아주고 부족한게 있으면 공유하며 오순도순 잘 커가봅시다!

 

자 시작합니다! 

 

파투생의 용어 알아가기 첫번째 !

                               인플레이션(Inflation) 그리고 디플레이션(Deflation)

인플레이션이란? 을 알기전에 먼저 알아야 할 법칙이 있다.

바로 '수요와 공급의 법칙'

수요와 공급의 법칙이란,

 

수요가 공급보다 많아지면 가치가 상승하고 

반대로

공급이 수요보다 많아지게 된다면 가치가 떨어지게 되는 것

 

예를들어 과자 하나가 100원이다.

 

이 과자를 파는 판매자 1명이 있고 이 과자를 사려는 구매자가 3명이있다면

공급(과자)보다 수요(구매자)가 많은 상황이라 과자의 가치는 올라간다. 그러므로 가격도 상승이 되겠지?!

판매자가 하나밖에 없는 과자를 비싸게 팔아도

과자를 먹고싶은 소비자 입장에선 하나밖에 없으니 비싸게라도 사려고 할테니까.

 

반대로 과자를 판매하는 판매자가 3명이 있는데 사려는 구매자가 1명이라면?

수요보다 공급이 많아지며 과자의 가치는 떨어진다.

판매자는 가격을 내려서라도 다른 판매자에게 구매자를 뺏기기전에 내 과자를 팔아야하니까!

 

자 이렇게 수요와 공급의 법칙을 이해하며 인플레이션 알아보기를 시작!

 

인플레이션이란?

통화량의 증가로 화폐가치가 하락하여 물가가 전반적으로 혹은 지속적으로 상승 하는 경제 현상

 

근데 여기서 또 두가지로 나뉘게 된다.

 

수요의 증가로 인한 인플레이션 (수요견인 인플레이션)

 

그리고 비용증가 인플레이션 - 원자재나 임금등의 생산비용이 상승하여 그만큼 제품비용을 올려

                                       손실 없이 보존하기 위해서 발생하는 현상

 

디플레이션이란?

전반적인 물가 수준 장기적 하락 현상

 

수요가 줄어들고 공급량만 늘어나게되며

시장에 유통되는 화폐가 줄어들며 화폐의 가치가 올라가고 물건의 가치가 하락

 

 

아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은 이런거구나.

그럼 우리에겐 인플레이션이 좋을까 디플레이션이 좋을까

 

정답은 뭐든지 적당해야한다는거..!

 

인플레이션이 심해지면 그만큼 물가가 상승하고 돈의 가치가 떨어지게 되니까

그렇게되면 쉽게 말해 예전에 짜장면 하나가 천원이었다면 인플레이션이 심해지며 6천원까지 가격이 올랐다..

천원일때 5천원을 가진 난 그때 였으면 짜장면 5개를 먹을 수 있었지만 지금은 1개도 못사먹는다..

 

하지만 적당한 인플레이션은 

시장에 화폐가 유통되며 기업은 물건을 찍어내야하고 그렇게되면 사람을 구해야하니까

일자리가 창출 그렇게 일자리를 얻은 사람은 돈을 얻게되고 그돈으로 다시 물건을사고

선순환이 일어난다!

 

소비자입장에선 물가가 내려가는 디플레이션이 좋은거 아닌가?

디플레이션은 전반적 물가가 '장기간'하락을 하게 되는 현상인데

그렇게된다면 소비자입장에선 물가가 더 내려가면 그때 사야지나 혹은 내가 샀는데 더 떨어지면 어쩌지 같은

소비심리가 위축이 돼 수요가 줄어든다

그렇게되면 공급 또한 줄어들게 되며 기업 입장에선 돈도 없는데 사람을 고용하는게 손해가 되니

실업자가 늘어나게 되고 갈수록 돈벌기가 어려워 장기적으로 경제침체가 일어나게된다..

 

뭐든지 적당한게 좋은 법..

 

그럼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의 해결법은??...!!

다음시간에 한번 배워봐야겠다!!

 

오늘은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을 배워봤다

경제는 진짜 어렵다.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을 알려면 금리나 국채, 안전자산 등 이런 연관되는 알아야할것들이 많아진다

아마 다음시간에는 금리를 주로 다루게 될거같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