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어! 투자 생초보 파투생입니다!
오늘은 비트코인 반감기에 대하여 궁금해져서 한번 알아봤습니다.!
반감기가 어떤건지 어떤 형태로 진행되는건지 가볍게?!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 비트코인 반감기 란?
2. 반감기는 어떻게 진행 되는가?
3. 반감기에 따른 비트코인의 가격?
1. 비트코인 반감기 란?
비트코인 반감기 란 말 그대로
비트코인의 채굴 보상량이 반으로 감소하는 시기를 말한다.
비트코인의 총 발행량은 2100만개로 제한 되어있고 2140년까지 모든 채굴이 완료되게 설계가 되어있다고한다.
비트코인 반감은 32번까지만 진행되고, 이후로는 더 이상 반감이 진행되지 않으며,
비트코인 최대공급량에 달해 비트코인이 더 이상 생성되지 않는다.
그만큼 희소성이 높아지고 그에 대비하여 가치가 상승하게 만들어주는 하나의 시스템이라고 볼 수 있다.
2009년 비트코인이 처음 나오고 블록 생성 됐을때 채굴자에게 보상되어지는 비트코인의 양은 50개였다.
약 10분에 50개의 비트코인이 발행되는 것이었다.
그리고 4년이 지난 반감기로부터 반으로 줄어들며 25개 그리고 4년후 12.5개
그리고 3번째 반감기가 지난 현재 시점 블록 생성에 발행되는 비트코인은 6.25개 이다.
반감기마다 채굴자들에게 돌아가는 비트코인의 양은 줄어들고 그만큼 비트코인은 희소성이 높아진다.
2. 반감기는 어떻게 진행 되는가?
비트코인의 거래가 이루어질때 거래 정보가 들어있는 블록이 생성이 되는데
이 생성된 블록이 쌓이고 쌓여 21만개가 됐을때 반감기가 되게 설정 되어있다.
블록이 하나 생성되는데 평균 10분정도가 걸리며 10분에 한개가 생성되며 생성된 블록이 21만개가 약 4년주기가 되도록 설정 되어있다.
대략적 계산으로 10분에 1개 -> 1시간 6개 ㅡ> 하루에 144개 ㅡ> 1년에 52,560 ㅡ> 4년에 210,240
이런식으로 계산되어지는데 정확한건 아니고 대충 이런식의 시간으로 블록이 생성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반감기는 21만번째 블록이 생성되면 반감기를 진행한다.
그래서 반감기가 4년마다 한번이지만 몇월 몇일인지 날짜는 다르다.
1차 반감기 2012.11.28 - 21만개
2차 반감기 2016.7.9 - 42만개
3차 반감기 2020.5.11 - 63만개
이렇게 진행되어 왔다.
다음 반감기는 2024년 - 84만개로 예정되어있다.
블록안에 어떤게 들어있고 블록은 어떤식으로 생성이 되며 이걸 어떻게 채굴 하는지는
다음에 채굴에 대하여 공부하는 시간을 가져 좀 상세하게 풀어보려한다.
오늘은 간단하게 반감기에 대하여 그 개념만 짚고 넘어가려한다.
반감기에 대한 카운트 다운은 여기서 참고 할 수 있다.
https://academy.binance.com/ko/halving
비트코인 반감기 카운트다운 | Binance Academy
비트코인 블록 보상 반감기는 평균 4년에 한 번씩 발생합니다. 비트코인 반감기의 중요성과 다음 반감기가 언제 발생하는지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academy.binance.com
3. 반감기에 따른 비트코인의 가격?
어떻게 보면 이부분이 우리에게 제일 중요한 부분인거같다
지금까지 비트코인 반감기에 따른 가격 변화를 살펴보면
보는 바와 같이 반감기가 지날때마다 엄청난 상승을 동반해왔다.
하지만 앞으로 시간이 갈수록 급격하게 줄어드는 보상량에 비하여 이런 급상승이 계속 될지는 모른다.
하지만 이때까지 보여온 반감기 이후에 급격하게 상승하는 가격은 어메이징 하다.
사람들이 왜이렇게 반감기 반감기 하며 기대하는지를 보여주는 바 이다.
역사는 반복된다는 말이 있지만 항상 그런것은 아니다.
하지만 보는바와 같이 급등이 있으면 급락도 있는 법이고 그것을 모두 견딜 수 있어야한다.
나처럼 비트코인을 미래로 생각하고 적립매수로 접근하는 사람에게는 반감기는 하나의 시스템일뿐이지만 ㅎㅎ
다음시간은 비트코인 채굴에 관해 조금 복잡하게 들어가보려고한다.
내 뇌로 받을 수 있는만큼 열심히..
오늘은 반감기에 대해 알아보았다!
<파투생>의 비트코인 관련 정보 / 3. 비트코인 채굴 이란? (채굴의 원리) (1) | 2021.11.24 |
---|---|
<파투생>의 비트코인 관련 정보 / 1. 내년부터 적용되는 과세에 관하여 (0) | 2021.10.2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