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파투생> 비트코인 관련 용어 알가기 첫번째 Part 일반적 용어

본문

파이어! 투자 생초보 파투생입니다!

 

코인 투자를 하다보면 주식하는 분들외에 처음 투자를 하시는분들에겐 이건 뭐지 싶은 생소한 용어들이

많이 보일겁니다!

오늘은 코인관련 투자를 할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들에 대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코린이 
- 코인 투자를 한지 얼마 안된 초보들


익절
- 내 원금보다 이익을 볼 때 매도를 하는 것

손절
- 반대로 내 원금보다 손해를 볼때 매도를 하는 것
주로 더 잃기전에 매도를 한다..ㅠㅠ

추매
- 추가매수, 이미 매수한 금액에서 더 사는 것
ㄴ 물타기 - 손해를 보고 있을 때 추가로 매수하는 것(평균단가가 떨어짐)
ㄴ불타기 - 이익을 보고 있을 때 더 오를거 같을때 조금 더 큰 이익을 보기위해 추가로 매수하는 것
(평균단가가 오름)

존버
- ㅈㄴ버티기 (안팔고 버틴다!!)
SBS 런닝맨 주식특집에선 (존리 말대로 버티기) 라고 나옴.

 

호재, 악재
호재 -좋은 뉴스(상승을 유도)
악재 - 나쁜 뉴스(하락을 유도)
하지만 호재라고 무조건 오르거나 악재라고 무조건 떨어지진 않음.

선반영
- 각 코인에 이벤트나 일정이 있을때 사람들은 그것에 기대해
그 코인을 매수한다. 이벤트가 다가올수록 기대로 인한 사람들이 몰려 가격이 상승함(오를것이라 기대)
하지만 막상 그날이 다가오면 잠잠하거나 하락을 한다.
이때를 이미 이벤트날 전에 가격이 반영이 됐다며 선반영했다고 말한다.

선물거래
- 코인이 올라갈지 내려갈지에 대한 미래를 베팅을 하는 것
ㄴ롱- 비트코인 상승에 건다
ㄴ숏 - 비트코인 하락에 건다
선물거래에는 청산이 있음. 일정금액까지 손해를 보면 돈을 100%잃음.
현물거래
- 선물거래가 아닌 코인 자체를 매수 하는 것

김프
- 김치 프리미엄, 한국의 코인 가격이 해외보다 더 비싼 현상
ex) 해외 비트코인 가격이 5000만원인데 우리나라가 5500만원이면
10%의 김프가 생성 됐다.

역프
- 김프와 반대로써, 해외 비트코인 가격이 우리나라 보다 비쌀때

떡상
- 가격이 급격하게 상승

떡락
- 가격이 급격하게 하락

스캠
- 실제로 개발도 안하는데 자금 모집만하며 결국 튀는 쓰레기 사기코인
(말도 안되는 급격한 변동성을 보여줄때 우스갯소리로 말하기도 함.)

지갑
- 암호화폐를 보관하는 주소나 개인키
하드월렛, 콜드월렛 등이 있다. 지갑에 대해선 다음에 조금 자세히 다룰예정

알트코인
- 비트코인을 제외한 나머지 코인들
ㄴ 메이저알트, 잡알트, 김치코인 등의 종류로도 나뉜다.
ex) 메이저알트 - 이더리움 라이트코인 폴카닷 등 시총이 높은 코인들 / 변동성이 높지않은 편
ex) 잡알트 - 시총이 낮은 코인들 / 변동성이 높은 편이다.
ex) 김치코인 - 해외거래소에는 없는 우리나라에만 있는 우리나라 코인들

단타
- 거래시 짧은 시간동안 여러번 매수 매도 하여 작은 수익률을 보는 방식
장타
- 긴 시간동안 존버하며 큰 수익률을 보려고 하는 사람들이 주로 쓰는 방식 

스윙
- 단타보단 길게 장타보단 짧게 거래하며 이익률을 적당히 가져갈때 
보통 몇일이나 10~20%정도의 수익률을 가져가는 걸 목표로함

세력
- 막강한 투자금으로 코인 시세를 좌지우지하는 사람들을 말하는 용어

시총
- 시가총액, 코인 가격의 총액 (코인 현재가격 x 현재까지 발행된 코인 개수)
코인의 규모를 보여주기도 함.
음봉, 양봉
양봉 - 차트화면상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며 그려지는 막대, 가격이 상승할때
음봉 - 차트화면상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며 그려지는 막대, 가격이 떨어질때



이렇게 기본적인 용어들을 알아봤네요..! 더 많을텐데 아직 더 뭐가 있는지 천천히 알아가 보는걸로..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